목록계급 (2)
창작메모장
조선시대의 양반은 단순히 부유하거나 권력이 있는 계층을 넘어, 국가의 법과 제도로 그 특권을 보장받는 최상위 지배 신분이었다. 본래 양반이라는 용어는 조회(朝會) 시 국왕을 중심으로 동쪽에 서는 문반(文班)과 서쪽에 서는 무반(武班)을 통칭하는 관제상의 용어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양반관료체제가 확립되면서, 그 의미는 현직 관료를 넘어 그 가족과 가문 전체를 아우르는 신분적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조선의 법제적 신분은 양인(良人)과 천인(賤人)으로 나뉘는 양천제(良賤制)를 기본으로 했으나, 실제 사회는 양반, 중인, 상민, 천민으로 구성된 더욱 복잡한 계층 구조를 가졌다. 이 구조의 정점에서 양반은 국가로부터 막대한 법적 특권을 부여받은 반면, 국가 구성원으로서 마땅히 져야 할 핵심적인 의무는 대부분 면제..
신라의 골품제도(骨品制度)는 개인의 혈통이 사회적 지위와 정치적 권한, 심지어 일상생활의 모든 것을 결정짓는 엄격하고 폐쇄적인 신분제도다. 이는 단순한 계급을 넘어, 신라 사회를 천 년 가까이 규정한 핵심적인 통치 시스템이었다. 6세기 초 법제화된 이 제도는 신라의 성장을 이끈 동력이었으나, 동시에 그 한계로 인해 쇠퇴의 씨앗을 잉태하기도 했다. 이번 글은 골품제도의 복잡한 구조적인 특징을 분석하고, 이것이 신라의 사회 계층에 어떤 심대한 영향을 미쳤는지 심층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골품제도의 성립과 구조골품제는 신라가 연맹왕국에서 중앙집권적 귀족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탄생한 역사적 산물이다. 그 핵심 목적은 정복과 병합을 통해 편입된 여러 지역 지배층을 수도인 왕경(경주) 중심의 서열 체계 안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