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도자기 (2)
창작메모장
고려에는 청자가 있다면 조선에는 백자(白磁)가 있었다. 고려 말 상감청자의 전통을 계승한 분청사기가 조선 초기에 생산되었으나, 15세기 중반 이후 왕실과 관청을 중심으로 백자의 생산과 사용이 확대되었다. 이는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아 검소하고 실용적인 가치를 중시한 시대적 배경과,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가마 기술의 발전에 따른 것이었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 순백의 대형 항아리인 달항아리가 제작되었는데, 이는 조선백자의 조형적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였다. #조선백자의 성립과 발전 과정고려시대 청자의 그늘에 가려져 있던 백자는 조선 건국과 함께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과 기술의 발전 속에서 백자는 점차 도자기 문화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다._청자에서 백자로의 전환우리나라에서..
고려청자는 고려시대의 문화적 취향과 당시 도자 기술의 성취를 가장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산물이다. 중국에서 시작된 자기 제작 기술을 받아들여 발전시킨 고려청자는 12~13세기에 이르러 독자적인 경지를 개척하며 절정에 달했다. 특히 다른 나라의 도자기와 구별되는 고려청자만의 독보적인 특징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신비로운 푸른빛을 띠는 유약의 색, 즉 비색(翡色)이며, 다른 하나는 흙으로 그림을 그리듯 정교한 문양을 새겨 넣는 상감(象嵌) 기법이다. 이 두 가지 요소는 단순한 기술을 넘어 고려인의 미의식과 창의성을 담고 있다. 비색을 구현하기 위한 과학적인 노력과, 상감이라는 독창적인 장식 기법의 완성 과정을 통해 우리는 고려청자가 지닌 예술적, 기술적 가치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