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조선 백자 (1)
창작메모장
고려에는 청자가 있다면 조선에는 백자(白磁)가 있었다. 고려 말 상감청자의 전통을 계승한 분청사기가 조선 초기에 생산되었으나, 15세기 중반 이후 왕실과 관청을 중심으로 백자의 생산과 사용이 확대되었다. 이는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아 검소하고 실용적인 가치를 중시한 시대적 배경과,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가마 기술의 발전에 따른 것이었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 순백의 대형 항아리인 달항아리가 제작되었는데, 이는 조선백자의 조형적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였다. #조선백자의 성립과 발전 과정고려시대 청자의 그늘에 가려져 있던 백자는 조선 건국과 함께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과 기술의 발전 속에서 백자는 점차 도자기 문화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다._청자에서 백자로의 전환우리나라에서..
전통/예술과 문화
2025. 9. 10. 2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