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기술 (2)
창작메모장
조선 역사상 가장 찬란한 과학 발전이 이뤄졌던 시기는 세종의 시대였다. 이 시기의 과학 발전은 단순한 학문적 성취를 넘어, 국가 경영의 근간을 바로 세우고 백성의 삶을 윤택하게 하려는 명확한 목적성을 가졌다. 특히 천문학 분야의 발전은 수도 한양을 기준으로 한 독자적인 역법 체계를 수립하는 중대한 과업과 직결되었다. 이러한 시대정신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과학 유산이 바로 혼천의(渾天儀)와 앙부일구(仰釜日晷) 이다. 혼천의가 국가 통치를 위한 정밀 과학의 정점이었다면, 앙부일구는 그 과학적 성과를 백성과 나누려 한 응용 과학의 백미이자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인 애민정신의 결정체였다. # 국가 주도의 과학 혁신세종 시대 과학 발전의 중심에는 서운관이 있었다. 천문, 지리, 역법 등을 관장했던 이 기관은 최고..
금속활자 인쇄술은 인류의 지식 보급과 문명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혁신적인 기술이다. 목판 인쇄의 시간적·경제적 한계를 극복한 이 기술을 세계 최초로 발명하고 실용화한 국가는 바로 고려다.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 인쇄물인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이하 직지는 서양의 구텐베르크보다 최소 78년 앞선 고려의 독창적인 기술력을 증명하는 결정적 유물이다. 고려의 금속활자는 우연한 발명품이 아니라, 당대의 사회적 필요와 수 세기에 걸쳐 축적된 기술력이 결합하여 탄생한 필연적 결과물이었다.# 금속활자가 발명될 수 있었던 기반고려의 금속활자 발명은 단순한 우연이 아니었다. 이미 준비된 기술력과 절박한 시대 상황이 만들어낸 필연적 결과였다. 그 배경을 자세히 알아보자 _준비된 기술들_인쇄 및 주조 기술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