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10 (3)
창작메모장
조선 왕조 500년의 역사에서 태종(太宗, 재위 1400~1418) 이방원만큼 극적인 평가를 받는 군주는 드물다. 그는 아버지의 대업을 완성하기 위해 정적의 피를 손에 묻혔고, 형제들을 죽음으로 내몰며 왕좌에 올랐다. 즉위 후에는 자신을 왕으로 만든 공신들과 처갓집 식구들마저 가차 없이 숙청했다.그러나 역설적이게도, 그의 잔인하리만큼 철저했던 권력 강화 과정은 조선 왕조의 가장 안정적인 통치 기반을 마련했고, 아들 세종이 열어갈 태평성대의 결정적인 초석이 되었다. # 건국의 일등공신, 그러나 잊힌 왕자태종 이방원은 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조선 건국 과정에서 그 누구보다 결정적인 공을 세운 인물이었다. 이방원은 1383년(우왕 9) 문과에 급제한 학자 출신이었지만, 동시에 정치적 위기 앞에서 과감한..
조선 왕조의 계보에서 제2대 왕 정종(定宗, 재위 1398~1400)은 아버지 태조 이성계와 동생 태종 이방원이라는 거대한 두 봉우리 사이에 가려진,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한 군주이다. 기록 속 그는 왕위에 대한 욕심 없이 동생에게 자리를 양보하고, 격구( 말을 탄 상태로 숟가락 모양의 막대로 공을 쳐 승부를 내는 경기.)나 사냥을 즐기며 조용히 여생을 보낸 인물로 그려진다. 그러나 그가 왕위에 머무른 짧은 2년은 그저 '과도기'로 치부할 수만은 없다. # 왕좌를 탐하지 않았던 왕자 정종의 본명은 이방과로,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 한씨의 둘째 아들이었다. 그의 성품은 순하고 성실했으며, 무인으로서의 용맹함도 갖추고 있었다. 그는 고려 말부터 아버지를 따라 왜구 토벌에 나서는 등 충실한 아들이자 장수였지만..
고려를 무너뜨리고 조선 500년의 기틀을 닦은 위대한 창업 군주, 태조 이성계. 그는 낡은 시대를 종식시키고 새 나라의 청사진을 그린 불세출의 영웅이었다. 그러나 500년 왕조를 설계한 그 위대한 창업 군주는, 아이러니하게도 한 가정을 제대로 이끌지 못한 비극적인 아버지였다. 이 글은 한 인물의 공적인 성공과 사적인 실패라는 두 얼굴을 통해, 조선 건국의 빛과 그림자를 입체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새 왕조의 기틀을 세우다이성계의 '성공' 서사는 고려의 영웅에서 조선의 설계자로 거듭나는 역동적인 과정 그 자체였다. 그는 혼란의 시대에 스스로 시대의 구심점이 되어 새 질서를 창조했다._고려의 영웅에서 왕조의 설계자로동북면의 신흥 무장 세력으로 출발한 이성계는 고려를 침략한 홍건적과 왜구를 연이어 격퇴하며 ..